aws 가 시작되었땅..
코드스테이츠에서 젤 듣고 싶었던? 수업?
역시나 어려웠당
3일동안 수업했는데 미루고미뤄서 한번에 몰아쓰는 포스팅..ㅎㅎ
클라우드 컴퓨팅의 세 가지 모델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컴퓨팅, 스토리지 및 네트워크 리소스와 같은 IT 인프라를 제공하는 비즈니스 모델. 개발자는 애플리케이션을 배포, 유지 관리 및 지원해야하며 IaaS 제공업체는 물리적 인프라를 유지 관리할 책임이 있다.
PaaS (Platform as a Service) :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유지 관리하는데 사용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인프라를 제공한다. 클라우드 제공업체는 데이터 센터에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를 호스팅한다. PaaS를 사용하면 온프레미스 인프라 환경보다 빠르고 저렴하게 애플리케이션을 빌드, 테스트, 실행 조절할 수 있다.
SaaS (Sofrware as a Service) : 인터넷을 통해 전체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클라우드 제공업체는 데이터 센터에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도구 및 애플리케이션 자체를 호스팅한다.
IaaS의 장점
- 속도 : 몇 분 안에 원하는 수의 리소스를 프로비저닝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빠르게 테스트하고 출시 할 수 있다. 제공업체가 IT 인프라와 컴퓨팅 리소스를 완전히 관리하여 핵심 비즈니스 활동에 집중이 가능하다.
- 성능 : 제한된 서버 용량과 지리적 접근에 따른 제약이 있다면 성능을 높이기 힘들다. 클라우드 제공업체는 고객과 물리적으로 더 가까운 위치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스케일업랑 수 있는 지리적으로 분산된 데이터 센타가 존재하여 컴퓨터 성능을 높이고 네트워크 지연시간을 줄일 수 있다.
- 안정성 : 교체용 가상 머신을 빠르고 예측 가능하게 실행하여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한다.
- 백업 및 복구 : 백업 및 재해 복구용 무제한 인프라에 대한 엑세스를 제공한다. 데이터 백업도 자주 동기화하여 중복성과 비즈니스 연속성을 댈성할 수 있다.
- 가격 : 사용한 리소스에 대한 비용만을 지불한다.
[ 출처 : https://aws.amazon.com/ko/what-is/iaas/ ]
클라우드 컴퓨팅 세자기 배포 모델
올 인 클라우드(All in Cloud) :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방식. 이용 방식 두가지 중 하나는 클라우드에서 새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제공하는 방법. 하나는 기존 애플리케이션을 클라우드로 이전하는 방법이 있다.
낮은 수준의 인프라에도 구축이 가능하며 높은 수준의 서비스 사용이 가능하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Hybrid Cloud) : 일부는 퍼블릭 클라우드에서 나머지는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제공하는 방식. 현대 대부분의 기업들은 이미 방대한 인프라와 데이터를 온프레미스 데이터 센터에 축적해 두어 클라우드로 이전하기 어려워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를 사용한다.
온프레미스와 프라이빗 클라우드(n premise, Private Cloud) : 온프레미스 서버는 물리적 서버이다. 유지보수, 관리 인력, 공간 등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며 직접 설치하는 과정에서 비효율이 발생한다. 이 경우 클라우드 환경으로 마이그레이션을 하기도 한다.
외부 클라우드를 않고 서비스 인프라를 직접 구축하는 프라이빗 클라우드 방식도 있다.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사용자가 몰리면 해당 서비스를 위한 인프라를 유연하게 안정화시킬 수 있다는 점이 온프레미스 환경과 다르다.
클라우드 글로벌 인프라
리전(Region) : AWS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클러스터가 위치한 물리적인 장서. AWS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리적인 위치. 리전에 속한 데이터는 고객의 동의 없이 외부 리전으로 이동할 수 없다.
가용영역(Availability Zone, AZ) : 각 리전에는 AZ라고 불리는 가용영역이 존대한다. 한 AZ에는 2~6개의 데이터 센터로 구성되며 전력 공급망과 네트워크망이 중첩적으로 구현된다.
AZ는 셧다운과 같은 피해를 입더라도 인접한 다른 AZ에 영향이 가지 않도록 분산 설계 되어있다. AZ는 저비용성, 고응답성, 고보안성의 조건을 충족하는 광케이블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응답성이 매우 높다. 특정 AZ가 자연재해 등으로 작동이 멈추어도 다른 AZ가 가동된다.
AWS 보안과 준수해야할 원칙
오늘은 아니지만 배우고 느낌점ㅎㅎ
AWS는 이렇게 되는구나.. 이런 서비스를 제공하는구나.. 에 대해 배운 부분!
배운지 일주일정도 된거라서ㅎㅎ 다시 복습하면서 리마인드했다.
AWS는 기초부터 탄탄하게 쌓는게 좋을 것 같다.
'코드스테이츠_Devops_4기 > section2) 클라우드 서비스 운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ction2 실습과제 Day 1 (2) | 2023.04.27 |
---|---|
Section2 AWS -2 (2) | 2023.04.25 |
Section2 Docker (2) | 2023.04.16 |
Section2 YAML (1) | 2023.04.12 |
Section2 네트워크 기초-3 (0) | 2023.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