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이 남으면 만들어 보자고 했던 웹훅
한번 만들어봤습니다.
원래 이런 아키텍쳐였는데 웹훅 개발을 하다보니 굳이 큐를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지 않아도 되어서 sns에서 바로 람다가 디스코드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했다.
람다를 만들고 기존에 우리가 만들어 둔 sns를 트리거로 붙여주었다
이때 자동으로 sns는 람다를 구독한다
이 구독이 뭔가하고 지워봤는데 지우니까 실행이 안되고 구독이 없다는 에러가 나서 다시 구독 설정을 해주었다,
sns를 타고 람다까지 진입한 데이터
소스 코드를 수정해서 디스코드 메시지를 이쁘게 만들어주었다.
쨘
디스코드에서 웹훅을 할 수있도록 웹훅봇? 을 하나 만들어주어야한다.
그러면 기존 공식 기록 데이터베이스에 값이 들어가면 sns sqs를 통해 해당하는 사람에게 포인트가 적립되는 람다함수가 있었는데 그 사이에 메시지로 전달 받을 수 있는 웹훅이 만들어진다.
귀욥지요?
끗
'코드스테이츠_Devops_4기 > final proj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nal) 프로젝트 마무리 회고 (5) | 2023.06.28 |
---|---|
final) IaC terraform 코드 작성 (1) | 2023.06.27 |
final) 서브넷 설정과 Grafana (3) | 2023.06.21 |
final) 다이나모 디비를 트리거로 사용하는 람다함수만들기 (0) | 2023.06.20 |